코드스테이츠| PMB 11/Daily 과제

Product Life Cycle 분석과 가상의 팀 구성하기_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1D2

Sutella 2022. 3. 15. 21:19
728x90
과제 1. PD Life Cycle에 맞춰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프로덕트를 선정한 후, 그들은 각 단계별로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형식 없이 자유롭게 분석해보세요.
선정 회사

출처: 쿠팡(coupang.com)

 필요한 물건이 있을 때 마트보다 가장 먼저 손이 가는 곳이다. 내게 쿠팡은 단순히 물건을 구매하는 구매처가 아닌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처럼 그냥 심심할 때 들어가는 앱이기 때문이다. 특히 다이어트를 할 때는 쿠팡에서 물건들을 구경하고 장바구니에 담으면서 대리 만족했던 시절도 있었다. (지금도 종종 그렇긴 한다.)

 예전에 어딘가 책에서 읽은 내용이지만, 쿠팡은 일반적인 서민(?) 뿐 아니라, 재벌가들도 이용한다는 부분도 인상적이었다. (이전까지만 해도 그냥 '최저가 쇼핑'이라고만 생각했다.) 특히 나도 그렇지만, 막상 물건을 구매해 보면 그렇게 낮은 퀄리티의 상품들만 있는 것도 아니다. 값이 싸면 물건의 질이 떨어진다는 고정관념도 더 이상 통하지 않는 것이다.

출처: 구글 Play 스토어

 이번 과제를 기회로 평소 좋아했던 쿠팡에 대해서 파헤쳐 보고자 한다. 이번에 다뤄볼 프로덕트는 Coupang의 다양한 서비스 중에서도 'Coupang play(쿠팡 플레이, 이하 쿠플)'이다. 압도적으로 Netflix가 OTT 시장을 차지하고 있지만, 쿠플은 치열한 시장에서도 다양한 밈과 클립을 생산해 내고 있다.(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뒤에 계속!) 무섭게 성장하고 있다!!! 까지는 아니지만, 뒤늦은 시장 진출에 비해서 힘을 내고 있는 쿠플에 대해서 분석해 보자. 

 

올바른 기회 찾기 및 계획: 회사가 발견한 가장 큰 기회는 무엇이었나요?

> OTT 시장: 시장 확장 및 경쟁의 변화

 2016년, Netflix와 Watcha를 시작으로 국내 OTT 시장이 활발해 졌다. 시장의 성장과 함께 팬데믹을 맞으며 OTT 시장은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방송사 및 통신사들도 OTT 시장에 뛰어들며 경쟁이 치열해고 있다. 

 다만, 미디어와는 관계가 없어보였던 쿠팡에게도 기회가 찾아왔다. 경쟁이 과열된 나머지 더는 '콘텐츠 수급'이 아닌 "자체 콘텐츠(Original contents)" 싸움으로 번지고 있어 쿠팡의 구미를 당겼다.

 콘텐츠 측면에서는, 국내 코미디 대표 프로그램 중 하나인 KBS 개그콘서트가 폐지되면서 방송에서의 '코미디'라는 장르가 크게 약화되었다. 더 나아가 유튜브 등을 통한 개별 콘텐츠가 강세를 보이며, OTT 시장에서의 '코미디' 프로그램이 하향세를 나타냈다.

 

솔루션 디자인: 회사는 어떻게 문제를 정의했고,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고 있나요?

1. 문제 정의: 이커머스 시장 내 경쟁업체의 위협

 쿠팡이 속한 이커머스 시장은 경쟁자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없는 특성이 강하다. 가격에 대한 차별성이 크지 않고, 크고 작은 경쟁자가 무수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SNS를 통한 라이브 커머스 시장 또한 등장하면서, 더는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로만 생존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변화했다고 생각한다.

 기존의 쿠팡은 "로켓 배송"을 중점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보해 왔다. 하지만 국내 택배 시장의 과열과 다양한 새벽 배송 이커머스의 등장으로, 배송 속도만을 메리트로 삼기에는 영향력이 약화된 시점이다. 그와 동시에 이커머스 경쟁사인 네이버에서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을 론칭하며 쿠팡의 위험은 가속화되었다. 특히 웹툰, 시리즈 등의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혜택도 동반하여 쿠팡의 허를 찔렀다고 생각한다. 네이버 웹툰, 네이버 TV 등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와 충분한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었기에 쿠팡에도 새로운 무기가 필요한 시점이었다.

로켓와우 멤버십 내 '미디어' 결핍

 이커머스 시장의 가장 큰 경쟁자인 네이버와 비교했을 때, 쿠팡에게 결핍된 부분은 '미디어'적 측면이었다. 쿠팡은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고 결핍된 부분을 채우기 위해 'OTT 시장'을 기회로 삼았다. "멤버십 내 미디어적 측면 결핍"을 문제로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OTT 시장에 뛰어들었다. 

 

2. 문제 해결: '스포츠 중계'로 시작하다

 쿠팡은 "쿠팡 플레이"를 빠르게 론칭하고 우선적으로 신규 이용자 유입을 위해 주력을 다했다. 자체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동안 고객을 끌어들일 수단이 필요했다. 이의 해답으로 가장 먼저 도출된 것이 "스포츠 중계권"이었다. 

 프리미어 리그 생중계를 시작으로 AFC 아시안컵, 월드컵 등의 축구 경기, NFL, 슈퍼볼과 같은 럭비, 농구 등 국내외 스포츠 경기를 생중계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한축구협회와의 협약을 통해 이를 가공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들어갔다. 

 

솔루션 구축: 회사는 정의된 문제와 해결책을 어떻게 구축했나요?

출처: 쿠팡 (coupang.com)

 스포츠 중계를 통해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스포츠 중계 특성상 이용자 층이 한정적이고 이탈이 쉽다는 약점이 있다. 그러나 이를 통해 확보한 사용자들의 반응을 바탕으로 본격적인 오리지널 콘텐츠를 론칭하기 시작했다. 그 시발점에는 첫 예능 오리지널 콘텐츠인 'SNL 코리아'가 있다.

출처: 쿠팡 (coupang.com)

 이전에도 'SNL 코리아'가 있었지만, 쿠팡 플레이는 제작사와의 계약을 통해 리부트(Reboot)하여 제작했다. 즉, 이전 콘텐츠와는 이어지지 않고 새롭게 '시즌 1'부터 제작하는 것이다. SNL 코리아의 매 회차가 공개될 때마다 고객들의 반응은 뜨거웠으며, SNS를 통해 여러 밈과 클립이 확산되고 있다. 그 인기를 증명하듯 쿠팡 플레이 주간 인기 콘텐츠 1위에 자리하고 있으며, 2022 퍼스트브랜드 어워즈에서 수상의 영예를 거머쥐었다.

 

솔루션 공유(마케팅): 회사는 만들어진 제품을 고객들과 시장에 어떻게 알리고 있나요?

1. '쿠팡'을 통한 독점 콘텐츠 홍보

 2천 5백만 명 이상의 이용자를 보유한 쿠팡은, 회차가 공개될 때마다 커머스 메인 배너 광고를 통해 홍보를 진행하고 있다. 10장의 메인 배너 중 '제품'이 아닌 유일한 '콘텐츠' 광고이기에 고객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또한 물건들 이미지 속 사람만이 등장하는 디자인도 고객의 눈길을 사로잡는 요소 중 하나일 것이다. 

 

2. '로켓와우 (쿠팡 멤버십)' 무료 이용 기한

 단순 쿠팡 플레이만이 아닌 로켓 프레시, 로켓 배송 등의 다양한 혜택을 한 번에 제공하는 점을 어필하고 있다. 타 OTT에 비해 2~3배가량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영상 시청+a의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타 사와 비슷한 한 달 무료 이용 프로모션을 전개하여 멤버십의 다양한 이점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신규 고객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조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3. SNS와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밈&클립 마케팅

출처: 쿠팡 플레이 인스타그램

 SNS를 통해 전체 콘텐츠 중 일부를 가공하여 클립 형태로 업로드하여 MZ 세대를 사로잡고 있다. 뿐만 아니라, SNL 코리아의 프로그램 특색을 살려 고퀄리티로 밈을 패러디한 연예인들의 모습을 담아 팬층과 일반 고객까지 유입시키는 수단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솔루션 평가: 회사는 솔루션에 대해 어떻게 성공/실패를 판단하고 개선해 나가고 있나요?

출처: Pixabay

 올해 초 발표된 보도자료에 따르면, 쿠팡 플레이의 이용자가 1년 만에 358만 명으로 증가했다고 한다. 2020년 12월 말에 서비스를 론칭한 것을 고려하면, 피 튀기는 OTT 전쟁에서 쾌거를 거뒀다 볼 수 있다. 여전히 업계 1위인 Netflix에 비하면 한참 모자란 수치로 비칠 수도 있다. 하지만, 레드 오션인 국내 OTT 시장에서 나쁘지 않은 성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커머스 업계에서도 네이버에 대응하는 미디어 전략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이력을 바탕으로, 스포츠 중계권이라는 강점을 유지하며 독점 팬층을 확보하고 있는 콜드 플레이 콘서트와 같은 독점 콘텐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콘텐츠 풍부성을 위해 사극, 로맨스 등 다양한 장르의 국내외 드라마/영화 등의 콘텐츠 수급을 통해 타 사에 비해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는 모습을 보인다.

 


과제 2. 아래 절차에 맞게 내가 원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가상의 프로덕트 팀을 구성해 봅니다.
1. 평소에 관심 있었던 기업 및 관련 업계 기업의 채용 정보를 살펴보고, '개발자', '디자이너' 직군의 채용 정보를 정리해 봅니다.

* 앞선 과제 1에 연결하여 쿠팡 플레이(Coupang Play)의 채용 공고를 분석했다.

> 개발자 (Staff, Back-end Engineer (Coupang Play))

- 직무 개요

 Back-end Engineer는 쿠팡 플레이 프로덕트 조직의 중요한 역할의 중의 하나이며,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덕트 디자이너, 모바일 엔지니어 및 QA 엔지니어들과 애자일 프로세스에 기반한 긴밀한 협업을 통하여 멋진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데 기여합니다. 고가용성 분산 시스템에 대한 경험을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며, 수백만명의 고객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업무를 담당하며, 명확한 방향과 독립적으로 업무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 미션 크리티컬 한 업무를 주도합니다. 

 

- 주요 업무

  • 높은 가용성과 확장성을 갖춘 쿠팡 플레이의 주요 백엔드 시스템 개발, 지원 및 개선
  • 요구사항 분석 및 테스트를 통한 RESTful API 구축
  • 향후 사용을 위한 모듈화 및 테스트 가능한 코드 및 라이브러리 구축
  • 프로덕트 및 서비스에서의 최대 속도 및 성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최적화
  • 프로덕트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확장(Scalable) 가능한 기술 솔루션 구축
  • 보안 및 데이터 보호 구현
  • 필요한 경우 HTML5, CSS, javascript를 활용하여 간단한 프론트엔드 업무 지원

- 자격사항

  • 컴퓨터 공학 혹은 관련 전공 학사 이상 학위 보유, 백엔드 엔지니어링 관련 업무 경험 10년 이상으로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최신 테크 스택으로 시스템 엔지니어링이 가능하신 분
  • 백엔드 엔지니어링을 위한 Go, Java, Javascript, Node.js 등의 테크스택 사용 역량을 보유하신 분 또는 유사한 경력을 보유하신 분
  • AWS, GCP 또는 유사한 최신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 역량을 보유하신 분
  • 애자일 환경에서 대규모로 작업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신 분
  • 독립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업무 역량을 보유하신 분
  • 적극적으로 문제를 분석하여 원인을 찾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경험이 있는 분
  • Zendesk, JIRA, GitHub 등의 이슈 및 버그 티케팅 시스템을 다룬 경험이 있는 분

- 우대사항

  • 엔지니어링 측면에서 스트리밍 미디어를 작업한 경험이 있으신 분
  • 대용량 데이터 및 트래픽 환경에서의 백엔드 엔지니어링 경험이 있는 분
  • 모바일 앱과 API의 연동 및 연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iOS/Android 개발자들과 협업하여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 분
  • 스타트업 경험 또는 역량을 보유하신 분
  • 영어로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신 분

> 디자이너 ([Coupang Play] Staff UX Designer)

- 직무 개요

 As a UX Designer at Coupang Play, you are expected to own the entire design from strategy to final execution. A strong ability to turn complex problems into simple, elegant UX solutions is key to success at Coupang. You are also expected to make data-informed decisions to drive business impact and think systematically to consider all aspects of user experience. Above all, your design should be supported by clear rational and logic.

 

- 자격사항

  • BA in graphic design, interaction design, industrial design, HCI, computer science, psychology, or equivalent degree/experience.
  • A portfolio demonstrating your work in at least 1 product/ design that has been released to market. Portfolio should display understanding of target users, design process and visual design skills.
  • Ability to skillfully use design tools such as Sketch, Zeplin, or Adobe Creative Suite.
  • 5+ years of experience in product design.
  • Ability to drive design process end to end from distilling insights, creating user journeys, wireframing to UI design. Thereafter working directly with engineers to ensure designs are well implemented.
  • Experience in collaborating with a product owner to build an overall strategy and prioritization of product roadmap.

- 우대사항

  •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designing for user touchpoints (mobile, tablet, web, or TV).
  • Experience working and collaborating with diverse teams in a rapid growth environment.
  • Experience in planning and conducting user research to generate insights that guide design.
  • Ability to identify and track data points and reflecting insights in ongoing design iterations.
  • Knowledge on the e-commerce or video streaming industry enabling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n its customers, sellers, and businesses.
  • Commitment at work and leadership.

> 정리

  개발자 (Back-end Engineer) 디자이너 (UX Designer)
업무 - 백엔드 시스템 설계 및 개발
- 코드 라이브러리 및 기술 솔루션 구축
- 애플리케이션 최적화
- 프론트엔드 업무 지원
- 전반적인 디자인 업무
- UX 솔루션 도출
-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자격사항 - 컴퓨터 공학 관련 학사 학위 이상, 백엔드 관련 업무 경험 10년 이상
- 백엔드 엔지니어링 역량 (Go, JAVA, Javascript, Node.js 등)
-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 역량 (AWS, GCP 등)
- 자기 주도적 업무 역량
- 이슈 및 버그 티케팅 시스템 경험
- 디자인, HCI, 컴퓨터 공학, 심리학 등 학사 학위 이상
- 포트폴리오 (시장에 출시된 제품 1개 이상 포함)
- 디자인 툴 능숙자 (Sketch, Zeplin, Adobe Creative Suite 등)
- 제품 디자인 경력 5년 이상
- 디자인 프로세스 설계, 엔지니어 협업 가능자
- PO와의 전략 수립, 제품 로드맵 작성 경험
우대사항 - 스트리밍 미디어 측면 엔지니어링 작업 경험
- 대용량 데이터 및 트래픽 환경 경험
- iOS/Android 개발자와의 협업 역량
- 스타트업 경험
- 영어 의사소통
- 사용자 접점 디자인 이해와 경험
- 다양한 팀과의 협업 경험
- User research 계획 및 수행 경험
- 데이터 식별 및 추적을 통한 인사이트 도출
- 이커머스 or OTT 산업에 대한 지식

 개발자의 경우 타 직군에 비해 매우 세부적으로 구분되고 자세히 설명되어 있었다. 기술적으로 요구하는 부분이 명확했고, 기술 환경과 관련된 안내가 많았다. 타 사의 공고와 비교해 개발자임에도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우대하는 부분이 독특했다. 백엔드 영역 중에서도 클라우드에 대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는 부분으로 미루어 보아 콘텐츠 업로드 및 스트리밍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할 것으로 예측된다.

 쿠팡 플레이의 디자이너의 경우 UI 디자이너를 별도로 채용하지 않는 듯하다. (적어도 이 글을 작성할 때 게시된 공고에는 UI 디자이너가 없었다.) 따라서 UX 디자이너의 채용 공고를 분석했는데, 디자인과 관련된 학위와 경력, 디자인 툴에 대한 내용이 언급된 것을 보아 UI 디자인 업무를 포함하는 듯하다. 따라서 '디자이너'이지만 PM의 업무도 혼재되어 있는 듯하다.

2. 앞서 탐색한 기업의 제품을 하나 선정해, 프로덕트 팀에서 필요한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채용 정보를 작성해 봅니다.

* 쿠팡 플레이 특성상 제품을 특정하기 어려워, 앞서 분석한 채용 공고를 내 나름의 관점으로 재작성해보고자 한다. 다만, 개발자 직군의 경우 관련 지식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기에, 타 직무에 대한 채용 공고를 요약하며 작성해 보는 것으로 대체한다. 디자이너의 경우 PM의 업무를 제외한 GUI 디자인을 중심으로 재작성해 보고자 한다. 

  개발자 (Machine learning Engineer) 디자이너 (GUI Designer)
업무 - OTT 구독자 행동 관련 데이터 마이닝
- 머신 러닝 기능 생성을 위한 신규 데이터 작업 생성
- 모델링 및 알고리즘 개발: 신규 후보군 생성 및 랭킹 알고리즘
- 테스트 수행 및 완수 (A/B 테스트 등)
- 프로덕션 유지 관리
- 콘텐츠 썸네일 및 포스터 제작
- 홈페이지 메인 베너 및 뉴스레터 이미지 작업
- SNS 콘텐츠 업무 지원
- 웹/모바일 광고 베너, 캠페인/프로모션 페이지 디자인
자격사항 - OTT, 비디오 스트리밍 관련 머신 러닝 업무 경험
- 대규모 데이터 분석 경력 6년 이상
- 컴퓨터 공학, 엔지니어링, 통계학 등 학사 학위
- 실험 및 모델링 관련 역량
- 자연어 처리, 텍스트 이해/분류, 추천시스템, 랭킹시스템, 개인화 관련 업무 경력
- 대규모 Back-end 시스템 구축 경험
- 전략적 분석 역량
- 자기 주도적인 리서치 프로젝트 역량
- 디자인, HCI, 컴퓨터 공학, 심리학 등 학사 학위 이상
- 개인 포트폴리오 제출
- 디자인 툴 능숙자 (일러스트, 포토샵 등) 
- 디지털 광고에 대한 이해
- 웹 디자인, SNS 콘텐츠, 광고대행사 관련 경험
우대사항 - OTT, 비디오 스트리밍 관련 머신 러닝 업무 경험
- AWS, 데이터 사이언스 플랫폼 경험
- SW 엔지니어링 경험
- 스타트업 경험
- 컴퓨터 공학, 엔지니어링, 통계학 등 학사 학위
- 사용자 접점 디자인 이해와 경험
- 다양한 팀과의 협업 경험
- 유튜브, SNS, 광고 콘텐츠 등의 제작 관련 경험
- 비디오 콘텐츠 관련 지식 보유자

* 개발자 공고: https://www.coupang.jobs/kr/jobs/job/principal-machine-learning-engineer-coupang-play-3743839/

 이전의 Back-end 엔지니어와 비교하면 OTT, 비디오 스트리밍과 관련된 키워드가 많이 보임을 알 수 있다. 특히 자연어/텍스트에 관련된 사항은 일반적인 Back-end architecture와는 전혀 다른 부분이기에 이와 관련된 능력이 요구되며, 머신 러닝 특성상 실험 및 모델링과 관련된 역량이 요구된다.

 두 공고의 우대사항을 살펴봤을 때, 쿠팡 플레이의 개발자에게는 직무적 역량 외에 '자기 주도적 업무 능력'이 강조됨이 느껴진다. 스타트업 경험, 빠르게 성장하는 회사에서의 협업 경험 등이 기재된 부분에서 쿠팡 플레이의 사내 분위기를 엿볼 수 있는 것 같다.

3. 개발자, 디자이너 외의 필요한 다른 직무는 무엇일까요? 필요할 직무에 대해 선정해 보고 그 이유를 간략하게 정리해 봅니다.
  • 콘텐츠 매니저 (콘텐츠 수급): OTT 시장의 '제품'인 콘텐츠 수급을 위한 전담 인원이 필요하다. 기존에 존재하는 콘텐츠 수급뿐만 아니라, 미디어 제작 능력 및 경험이 없는 쿠팡 플레이의 한계 극복을 위한 전문가가 요구된다. 제작사와의 컨텍을 통해 쿠팡 플레이의 브랜드 이미지를 잘 나타내 줄 수 있는 콘텐츠 제작 계약을 체결하고, 시장의 기회(신규 콘텐츠의 흥행 가능성)를 포착하여 발 빠르게 확보해야 한다.
  • 마케팅 매니저 (SNS/뉴스레터 관리): 현재 쿠팡 플레이의 SNS를 살펴보면 특정 작품과 관련된 게시물이 압도적임을 알 수 있다. 물론, 많은 고객들이 반응하는 작품이지만, 기존 유저와의 소통 및 신규 고객 유치를 위해 전략적으로 콘텐츠를 관리할 담당자가 필요하다.
  • UX 분석 전문가: 현재의 쿠팡 플레이는 고객들에게 일방향적으로 작품을 추천해주는 형태를 갖고 있다. 별도의 고객 의견 및 행동이 드러나는 채널(커뮤니티 등)이 없기 때문에 고객에게 최적화된 프로세스, 알고리즘 등을 위한 UX 분석 전문가가 요구된다.

 특정 직무명으로 정의 내릴 순 없지만, 기존의 서비스를 유지/보수/개선하는 일 외에 새로운 기능을 기획하고 실험해 볼 수 있는 TF팀도 있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본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대해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라던지, 쿠팡(커머스)의 제품 리뷰처럼 콘텐츠 코멘트를 남길 수 있는? '영상 시청'이지만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방법은 없을까라는 질문을 끝으로 과제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