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관리 메뉴

Sutella의 자기 발전소:)

Product Life Cycle - 애자일 vs. 워터폴_코드스테이츠 PMB 11기| QA (12) 본문

코드스테이츠| PMB 11/Review

Product Life Cycle - 애자일 vs. 워터폴_코드스테이츠 PMB 11기| QA (12)

Sutella 2022. 3. 16. 08:00
728x90
질문 1. (1) PD Life Cycle이 업무 방식과 관계없이 대부분 적용되는 것 같습니다. (2) 그렇다면 워터폴과 애자일 방식 간에 Cycle time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는 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워터폴: 전체적으로 길게 보는 1개의 Cycle / 애자일: 짧은 Cycle time으로 자주 반복)

 

출처: https://www.visual-paradigm.com

1) 모든 Product는 사람처럼 Life Cycle이 존재한다. (대부분이라고 표현한 부분이 틀린 듯!) 교육 내용에서는 Product의 종료 부분에 대해 많이 다루지 않았지만, 꼭 전체적인 Product이 제거되는 것이 아닌, 특정 기능이 신규 론칭됨에 따라 기존의 Product이나 Feature가 사라지는 것도 Life Cycle의 말단에 해당된다. 

 

2) Cycle Time에서의 차이는, time을 어떻게 정의하느냐, 어떤 기준인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1개의 Cycle time 관점으로 볼 수도, Cycle이 몇 번 반복됐는지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워터폴과 애자일 방식의 차이는 'Cycle의 횟수'로 볼 수 있다.

 


(2022.03.16 수정 내용)

 답변해주신 PM님께서 아래 내용에 대해 추가로 답변해 주시면서 새로 정리해서 알려주셨다. 두루뭉술하고 모호했던 질문들인데 궁금했던 부분을 간략하게 잘 정리해 주신 것 같다!

 

[용어 정리 및 가정]

  • Cycle: [ 기회 포착/계획 > 디자인 > 구축 > 공유 > 평가 ]를 하나의 Cycle이라 정의
  • Time: Cycle을 몇 번 돌았는가? (반복했는가?)  즉, 1 cycle = 1 time 으로 가정 (횟수)
    => Cycle time: Cycle을 반복한 횟수
  • 애자일 방식: 워터폴 방식과 비교했을 때, 점진적이고 기민하게 접근하는 방식이라 정의
RE: 질문 1-2. 워터폴과 애자일 방식 간, Cycle time에서 차이가 있는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워터폴과 애자일 방식을 모두 최대한 많은 기능들을 계획/디자인/개발하여 공유한다. 다만, 애자일의 경우, 여러 기능들의 우선순위와 특성(필수, 교차 등)을 파악하여 각각에 대한 기간을 조율하고, 이를 동작 가능하게 개발하여 내외부의 이해관계자들에게 공유하여 다음의 행동을 결정한다.

* 워터폴 방식을 적용한다면? 모든 기능에 대해 세부적으로 기획한 사항을 문서화하여 개발팀에 전달

 특히 많은 기능과 동작을 담아야 할 때는 Cycle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그만큼 구상/평가해야 하는 내용이 비례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애자일 방식의 Cycle time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밖에 없다.

 


질문 1-2의 꼬리 질문. 그렇다면 애자일과 워터폴 방식의 차이점이 볼륨(?) 차이라 볼 수 있을지?

* 해당 부분은 PM님도 즉석에서 대답을 하셔서 적절한 예시를 다시 알려주신다고 했다. 추가적인 답변을 받으면 수정할 예정

 이 또한 볼륨/부피를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 지가 문제이다. 코드량으로 봐야 할지? 기능의 개수로 봐야 할지? 하지만 두 방식에는 분명 차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A에서 B 지점으로 빨리 가고 싶다는 요청을 했을 때, 자전거를 제공할 수도, 자동차를 제공할 수도 있다. 혹은 일반 자동차가 아닌 스포츠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어떤 문제를 해결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 내가 궁금했던 부분은 애자일과 워터폴 방식에서의 PD Life Cycle이 적용되는 대강의 Frame을 알고 싶었는데, 이렇게 복잡한 내용일지 몰랐다. 수업 내용으로 파악한 내용은 PD Life Cycle을 치밀하게 계획하고 구조화/문서화하는지(워터폴), Product을 작은 단위로 쪼개 빠르게 여러 번 진행하는지(애자일)의 차이로만 다가왔기 때문이다. 추가적인 답변을 기대하며!


(2022.03.16 수정 내용)

  • 볼륨(Volume): '기능의 합'이라 정의

 이를 바탕으로 다시 질문해 보자면, 

RE: 질문 1-2의 꼬리 질문. 워터폴 방식과 애자일 방식 간의 제품 볼륨에도 차이가 있는가?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고객에게 전달될 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의 전달이란, Cycle 중 공유 단계에서 전달되는 부분. 워터폴 방식을 사용한다면, 꼭 전달해야 할 부분을 최대한 담아서 보내기 때문에, 다시 앞의 과정으로 돌아가려면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 Cycle 중 '공유' 단계에서 전달해야 하는 양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기에, 워터폴 방식에서는 제품의 볼륨이 크고 다시 Cycle의 첫 단계로 돌아가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다른 분들의 질문에서 배운 점!
  1. 회사/Product 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Product cycle의 대략적인 주기는?
     완전 New한 product/feature일 수도 있지만, 개선에 개선을 거듭해도 해결되지 않을 때가 존재한다. 그럴 때도 신규 product/feature가 등장하니 product life cycle을 규정하긴 어렵다. 이러한 경우도 있기에 New product이 6개월 만에 등장할 때도 있다.

 

  1. PM과 관련된 자격증이 있다면?
     현재의 교육과정에 완전히 적합하고 직접적이진 않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PMP 자격증(국제), 스크럼 마스터, 칸반 등 애자일이나 스크럼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기도 한다. 스크럼 마스터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다지 추천하지 않는다. (비용 문제도ㅠ) PM의 업무가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보니 자격증으로 증명하기보다, 이전의 프로젝트/업무 이력을 바탕으로 한 포트폴리오나 대회 수상 내역이 더욱 설득력 있다.

(2022.03.16 수정 내용)

 윗 내용 중 '자격증으로 증명하기보다~'의 부분에 대해 잘못 작성한 부분이 있어서 다시 정리하자면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해당 직군의 동료분 의견으로는 특정 자격증보다 대회 수상 이력이 더욱 설득력 있다.
  • PM: 역시 자격증보다 이전의 프로젝트와 업무에서 어떤 일을 했고, 얼마나 성과를 냈는지가 중요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