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4)
Sutella의 자기 발전소:)

질문 1. (1) PD Life Cycle이 업무 방식과 관계없이 대부분 적용되는 것 같습니다. (2) 그렇다면 워터폴과 애자일 방식 간에 Cycle time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는 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워터폴: 전체적으로 길게 보는 1개의 Cycle / 애자일: 짧은 Cycle time으로 자주 반복) 1) 모든 Product는 사람처럼 Life Cycle이 존재한다. (대부분이라고 표현한 부분이 틀린 듯!) 교육 내용에서는 Product의 종료 부분에 대해 많이 다루지 않았지만, 꼭 전체적인 Product이 제거되는 것이 아닌, 특정 기능이 신규 론칭됨에 따라 기존의 Product이나 Feature가 사라지는 것도 Life Cycle의 말단에 해당된다. 2) Cycle Time에서의 차이는, tim..

과제 1. PD Life Cycle에 맞춰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프로덕트를 선정한 후, 그들은 각 단계별로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 형식 없이 자유롭게 분석해보세요. 선정 회사 필요한 물건이 있을 때 마트보다 가장 먼저 손이 가는 곳이다. 내게 쿠팡은 단순히 물건을 구매하는 구매처가 아닌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처럼 그냥 심심할 때 들어가는 앱이기 때문이다. 특히 다이어트를 할 때는 쿠팡에서 물건들을 구경하고 장바구니에 담으면서 대리 만족했던 시절도 있었다. (지금도 종종 그렇긴 한다.) 예전에 어딘가 책에서 읽은 내용이지만, 쿠팡은 일반적인 서민(?) 뿐 아니라, 재벌가들도 이용한다는 부분도 인상적이었다. (이전까지만 해도 그냥 '최저가 쇼핑'이라고만 생각했다.) 특히 나도 그렇지만,..

질문 1. 회사나 산업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PM이 알아야 할 Tech의 깊이가 어느 정도까지인지 대략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질문 이유 이제까지 (나름의) IT 프로젝트를 경험하면서 개발자와 협력한 경험이 있다. 매우 초보적인 수준이긴 했지만 그때마다 내가 어느 정도까지 알아야 하는지 잘 몰라서 개발자들에게 엄청 많은 질문을 쏟았던 기억이 난다. "이게 무슨 말이에요?" "이게 이 의미인가요?" "그냥 이렇게 하면 안 되나요?" --> 안 되기도 하고 그렇게 간단한 과정이 아님 (이 부분은 코딩을 경험하며.. 과거의 나를 반성...) "이렇게 짜잔하고 얍! 했으면 좋겠어요!" -> 개발자) 이건 제 역량이 아닙니다.. --> "왜요?" (그분의 역할이 아니었다) 기타 등등... 이후 다른 경험을 쌓고 여러..

과제 1) Product Manager란 무엇인가 1. 대표적인 채용 공고 사이트인 원티드, 로켓펀치, 피플앤잡, 잡플레닛, 잡코리아 등을 통해 일하고 싶은 곳을 찾고 PM 채용 공고 3개 이상 분석해주세요. 기업 이름 위시켓(주) 퍼블리(PUBLY) 구름 채용 직무 명 서비스 기획자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덕트 매니저 (PM) 업무 - '위시켓 플랫폼'(Web, mobile, admin)과 '요즘IT' 기획 - User needs 파악 (인터뷰, 서비스 데이터, 시장조사 등) - 정책, 기능, UX 설계 - 디자이너&개발자와 협업하여 기능 적용 - 데이터를 통한 결과(task 성공/실패) 분석 및 개선 - 운영팀 업무 보조 - 디스커션 파트너 (전략, 사업 계획 수립 관여) - 스쿼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