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4)
Sutella의 자기 발전소:)

고객의 문제를 명확하게 발견하는 방법 설문조사와 인터뷰의 궁극적인 목적이자 공통적인 정의. 두 방식에는 응답자의 규모/진행 프로세스/데이터 타입 등 다양한 차이점이 존재하지만, #고객 과 #문제 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부분은 변하지 않는다. 설문조사: 많은 모수 대상 1. 조사 배경 및 목적 정의 설문조사의 가장 기초가 되는 부분. 명확하게 정의해야 진행중에도 방향을 잃지않고 나아갈 수 있다. 조사 배경: 설문 조사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 계기/동기 목적: 설문 조사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 2. 가설 설정 가설 "~일 것이다"로 정의되며,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할 내용 ‘정확한 자료가 없어서 입증할 순 없지만 아마 이렇지 않을까 라고 추측되는 것’을 한 줄로 정리한 문장 3. 응답 대상자 설정 적절한 타..

과제 1. 고객이 우리 서비스를 사용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 내가 사용하는 (선호하는) 서비스 중 나의 삶에 제일 많은 영향을 끼치는 서비스 하나를 선택 - 실제 서비스를 사용하기 직전의 나의 감정이나 상태 - 실제 서비스를 사용한 상황에서 어떤 문제를 해결했는가 - 나의 JTBD 정의: Situation(상황), Motivation(동기), Expected Outcome(기대효과) Youtube Music (유튜브 뮤직) 선정 이유 다양한 이유로 일상에서 이용하는 음악 앱. 어릴 적부터 통신사와 요금제를 따라 음악 앱 유목민이었던 나는 "유튜브 뮤직"에 정착했다. 멜론, 지니, 벅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써 봤지만, 그렇게 돌고 돌아 가장 오래 쓰고 있는 서비스이며, 국내에서도 멜론을 뒤이어 가..

JTBD(Job to be done)란, 고객은 어떤 임무/목적 수행을 위해 제품을 고용한다 JTBD란, 특정 상황에서 고객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집중한 접근 방법이다.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는 "맥도날드 밀크쉐이크 개선(하버드 경영대학원 '크리스텐슨' 교수)". JTBD의 핵심은 수행하고자 하는 Job(과업)이다. 잠재고객 + Product(제품/서비스) = 멋진 모습, 즉 고객은 제품을 통해 달라진 자신의 모습을 위해 구매한다. (제품을 원해서 X) 따라서 “새로운 나”가 되고자 하는 고객이 변화되거나/변화를 바라는 방법을 보여주는 방법이 JTBD이다. Job을 조사하면 특정 상황(Situation)에서 현실적인 제약(Constraint)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바(Expected outcom..

과제 1. 이 서비스의 페르소나는 누구일까 (이커머스 서비스 중 선택) - 주요 기능과 특징, 간략하게 정리 - 기능들은 어떤 고객을 타깃으로 기획? 이를 바탕으로 페르소나를 역기획 - 개선 기능 제안 선정 기업: 아이디어스(idus) 아주 자주 이용하는 건 아니지만, '가끔' 이용하는 "아이디어스". 관련 기사에 따르면 2021년 3월, 20대 남녀 쇼핑앱 사용자 수 TOP5에 '아이디어스'가 위치했다. 타 연령대에서는 10위 안에 들지 못한 부분을 고려하면, 이색적인 결과이다. 나 또한 20대의 입장으로서 이러한 결과에 공감하면서도 의문점이 생겼다. 아이디어스는 "왜" 20대에게만 인기가 높을까? 왜 다른 연령대는 잘 이용하지 않을까? 이러한 의문을 바탕으로 이번 과제를 시작하려 한다. 서비스 소개 ..

1주 차 페어 리뷰 후기 PMB 과정에 탑승한 지 5일째, 한 주가 무사히(?) 지나갔다. 끊임없이 지식을 받고, to do가 주어졌던 한 주를 보낸 후의 후기를 남겨보고자 한다. 그중에서도 이번 글에서는 '페어 리뷰'를 중점으로 하고자 한다. 페어 리뷰란, 코드스테이츠 PMB 과정에서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시스템 중 하나로, 페어(짝)의 과제에 피드백을 해 주는 것이다. 페어 리뷰 시스템을 통해 똑같이 주어진 과제에 대해서도 다른 방식으로 서술되는 점들, 관점, 표현 방식 등이 상이해서 많은 것을 배우는 시간이었다. 이번 주에 매칭 된 페어님은 내게 너무 과분한 분이었다. 나름 과제를 잘했다고 생각하고 페어님의 과제를 보면 반성하는 부분이 많았기 때문이다. 깔끔한 정리, 자세한 분석, 무엇보다 페어님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