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4)
Sutella의 자기 발전소:)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 우린 지금 잘 가고 있는 걸까 ( vs BM: 성장하려면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가)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핵심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요소들에 대한 성과지표 Key(핵심): 무엇이 제일 중요한가 ★얼라이먼트(합치): 아무리 좋은 성과라도 회사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항상 회사의 방향, 비전, 미션과 얼라인이 되느냐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며, 그를 기준으로 팀/회사에 뭐가 중요한지 생각해야함 Performance(성과): 무엇이 성과를 대변하는가 ★얼라이먼트 Indicator(지표): 어떻게 수치화 할 수 있는가 고객이 우리 제품을 원한다-는 정성적인 평가는 설득력을 갖기 어려움 원칙 내가 담고자 하는 핵심이 무엇인가..

과제 1. 이 기업은 PMF를 찾았는가? 선정 Product: 카카오톡 선물하기 2010년 12월에 출시된 '카카오톡 선물하기'는 국내 인구의 90%가 이용하는 카카오톡에 내재된 서비스로, 21년 8월 기준 약 3,800만 명이 경험해 본 서비스이다. 60만 종의 상품이 등록되어 있으며, "기프티콘" 문화를 바꾸는데 크게 기여했다. 이전에는 모바일 상품권은 성의가 없거나 심지어 무례하다는 인식이 만연했다. (출처: 중앙일보) 그러나 카카오톡 선물하기가 등장한 이후 '선물하기' 문화가 생겼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작게는 300원짜리 츄파츕스부터, 몇 백만 원에 이르는 명품백까지 다뤄지고 있으며, 여러 브랜드/플랫폼들과 연계하며 새로운 유통 채널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나 역시 카카오톡을 이용하면서 '..

Pricing(가격 정책) Pricing(가격) = ‘소비자가 느끼는 제품의 가치’ 제품 포지셔닝에 따라 가격 포지셔닝도 달라진다 회사/팀/제품의 목표 설정에 따라 달라짐 시장 점유율 확대 → 저가 전략 or 가격 하락 매출 확대 → 고가 전략 or 가격 상승 ⇒ 목표와 전략을 고려한 가격 정책 필요 가격 결정법 (자사 내부) 원가 가산 결정법 (경쟁사) 경쟁사 기준 결정법 스키밍 전략: 아주 높은 가격을 책정한 다음 시간이 지날 수록 낮추는 전략 (ex. 삼성 갤럭시) 침투 전략: 매우 낮은 가격 → 점차 가격을 높여 나가는 전략 (ex. 렉서스) (소비자) 시장 기반 결정법 (가치 기반 결정법) “설정한 가격이 맞을 지는 아무도 모른다. 가격도 MVP와 같이 시장에 내놓은 후 계속 PMF(제품 시장 ..

과제 1. 내가 좋아하는 서비스의 BM은 어떻게 생겼을까? 1. 최근 가장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 어떤 BM을 가졌을지 분석해봅니다. 서비스 선정: 카카오페이지(Kakao Page) 언제부터인지 모를 시절부터 내 하루의 마무리는 "웹툰"이었다. 네이버 웹툰을 시작으로 다음 웹툰(현 카카오 웹툰), 레진코믹스, 올레마켓 웹툰 등 여러 플랫폼들의 다양한 작품들을 보고 나면, 하루에 1~2시간은 후딱 지나갔다. 이는 고3 시절에도 예외는 아니었고,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이번 과제의 메인 토픽은 "비즈니스 모델". 과제 설명(?)에 '최근 가장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부분에서... 고민 없이 선택했다. 아래의 ↓스크린 타임↓ 사진을 보면(ㅋㅋㅋ) 지난 3주 동안 18시..

기업 선정: 네이버 쇼핑(Naver Shopping) 기업 선정에 매우 오랜 시간이 걸렸다. 평소 자주 쓰는 서비스를 골라야 할까? (카카오톡) 그러기엔 너무 대중적이다.(권고사항 위반) 그렇다면 최근 가장 '오래' 쓰는(이용/체류 시간이 긴) 서비스를 골라야 할까? 그렇다면 (유튜브) 같은 영상 앱이나 (카카오 페이지)와 같은 웹툰 앱인데, 그렇다면 권고 사항의 질문을 통과하지 못했다. 그렇게 거듭된 고민 끝에 선택한 것은 "네이버 쇼핑"이다. 사실 "쿠팡"에 대해서도 고민이 많았지만, 아래의 질문을 다 통과하지 못했다😢 그렇다면 모든 관문을 통과한 '네이버 쇼핑'이 선정된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네이버 쇼핑(Naver Shopping) 권고 사항 / 선정 기준 이유 왜 이 기업이어야만 합니까? 쇼핑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