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4)
Sutella의 자기 발전소:)

제품(기능 기획)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능 정의 어떤 문제에 집중할 것인가 내가 발견한 Pain point는 #과한 옵션 추가금 과 #필터링 노이즈, 2가지이다. 다만 두 가지 문제 모두를 동시에 해결하기엔 현재 내 능력상 한계가 있다고 생각해 하나의 문제에 집중하고자 한다. 옵션 추가금의 경우 셀러들이 등록하는 부분으로, 스마트스토어에서 하달하는 가이드라인을 개선하거나 이를 모두 개별 상품으로 취급하여 개선할 수도 있다. 필터링 노이즈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관련 알고리즘을 개선하는 것이다. 해당 문제와 관련된 데이터를 학습시켜 서비스에 적용하는 것이 부가 기능을 만드는 과정 없이 최고의 해결법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나는 어떤 문제에 집중해야 할까? 이 과제는 "개발자" 과정이 아닌 ..

3주 차 후기 어느새 PMB 탑승한 지 한 달이 다 되어간다. 벌써 3주 차라니😂 정말... 어떻게 보냈는지 모르겠진 않고, 이번 주는... 애매한 한 주였던 것 같다. 왜 운영진 분들이 5주 차가 되면 힘들어한다고 했는지 3주 차부터 이해가 되며...ㅋㅋㅋ 어제까진 되게 화가 난 상태였는데 마성의 금요일인가😊 지난 월~목의 기억이 미화되면서... 내실은 없는 뿌듯함만 남았다...★ㅋㅋㅋ 이번 주도 지각없이 데일리 과제를 제출한 것에 의의를 두고! 위클리 과제는 오늘 회고록 쓰고 해야지... 월요일에 과제 제출하고 위클리 과제도 시도했지만, 화요일부터 처참히 실패했다.(ㅋㅋㅋㅋㅋ) 일단 이번 주의 과제와 페어 리뷰 돌아보기, 시작-! 페어 리뷰 후기 이번 주의 페어님은 토론에서 미리 한 번 뵀던 분이었다..

OKR (Objective and Key Result) : 목표 및 핵심 결과 지표 조직적 차원에서 목표를 설정하고, 그 결과를 추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목표 설정 프레임워크 우리의 리더와 기관들이 실패를 하고 있지만, 이것이 늘 나쁜거나 비윤리적이어서만은 아니다. 그들이 우리를 잘못된 목표로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 → 정상적인 궤도로 돌아갈 수 있는게 OKR (그 중에서도 목적(Objective)의 중요성) ⇒ 올바른 목표 설정이 성패를 좌우 OKR의 이점 집중 (Focus): 한정된 리소스 속에서 ‘하지 말아야 할 일’을 정의하고 할 일에 온 힘을 쏟도록 함 전사적 목표, 팀의 정렬과 연결 (Alignment): 투명한 공개. 다른 사람의 목표 설정 과정에서도 이의 제기 가능. 팀 내 분위기 형성...

과제 1. 이 기업의 KPI는 무엇일까? 1. KPI를 설정하고 측정하는 데에는 다양한 지표가 활용됩니다. 어떠한 지표가 활용되는지 고민해보고 스스로 '지표 Dictionary'로 정리합니다. ex) LTV, CPC, CPA, CPI, nCPA, nCPI, CAC 등 지표 Dictionary에 대한 내용은 별도의 글에 정리하였다. 내가 만들어내고 생각한 지식이 아닌, 결국 다른 분들이 이미 정립하고 정의내려 놓은, 심지어 정리까지 해 놓으신 부분이기에... 많은 분들의 글을 참고해서 dictionary를 별도의 글로 정리했다:) ▼ 아래는 내가 re-organizing해서 발행한 글들(2) [정리] 성과 지표 이야기: KPI와 Metric (Vanity vs. Actionable) KPI (Key Per..

이커머스 시장의 KPI 관련 지표 Scale (규모) GMV(Gross Merchandise Value): 거래된 상품(서비스) 가치의 총합. 환불 및 교환 이후 GMV 계산. Gross Revenue와 값이 같은데, 계약건과 실제 성사된 건의 GMV를 구분하는게 중요. Net Revenue: 마켓플레이스 사업자가 내는 매출 (대부분 수수료 매출) Margin (총 수익률) Gross margin = Net revenue - COGS : 매출원가: 매출을 내기 위해 들어간 모든 비용 Contribution margin = Gross margin - VC(Variable cost) - Sales&Marketing cost : VC) 변동비 (지불, 고객응대서비스, 데이터비용 등) SM cost) 세일즈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