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4)
Sutella의 자기 발전소:)

2021년 모바일 UX 트렌드 10가지 | 요즘IT UX 디자인의 측면에서 보자면, 이러한 슈퍼앱들은 상당히 도전적인 개념입니다. 앱 하나에서 수많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검색 기능과 인앱(in-app) 내비게이션을 훌륭하게 만들기 위 yozm.wishket.com 1. 슈퍼앱의 성장 지난 20년 동안의 모바일 앱 개발 원친은 '1앱 1목적'. 하지만 최근 "슈퍼앱"을 향해서 업계 동향 변화 * 슈퍼앱: 하나의 앱으로 수많은 다양한 일을 처리할 수 있는 다목적 앱 ex. 위챗 2. 동영상 인터렉션 #화상화 팬데믹의 영향으로 일상 속에서 동영상을 통한 상호작용 자연스러워 짐 라이브 커머스(동영상 쇼핑)를 통해 중소규모의 기업 제품 구매 활성화 3. 기능적 목적의 3D 그래픽 - 이커머스의 360..

서로 닮아가는 UI 디자인 제이콥의 법칙 사용자는 여러 앱을 사용할 때마다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배우지 않아도 됨 가장 대표적인 앱들이 이러한 변화에 앞장서기는 하지만 다른 앱들도 디자인 평준화에 앞장서게 될 가능성 높음 좋은 브랜드 = 어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집중 (=/ 어떻게 보여지느냐) UI가 프로덕트의 차별화 요소가 아니더라도 사용자에게 주요한 task를 수행할 수 있게 해야함 UI 디자인의 흐름 모피즘(Mophism): 형태론: 실제 사물의 형태를 최대한 살려 디자인 플랫(Flat): 사물의 특징을 이용해 단순명료함 추구(2D 위주) 스큐어 모피즘 실제 사물과 최대한 유사하게 디자인 제이콥의 법칙을 가장 잘 나타내는 디자인 초창기 GUI에서 사용자들이 빨리 적응할 수 있게 도움 단점 플로..

제이콥의 법칙 사용자는 여러 사이트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 그래서 대부분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길 원한다. 예쁜 디자인도 좋지만 실제 삶과의 인지를 일치시켜 익숙한 제품으로 느끼게 해야 함 이커머스) UX/UI가 매출과 직결되기에 더욱 보수적임 피츠의 법칙 대상에 도달하는 시간은 거리가 가까울 수록, 크기가 클 수록 빨라진다. CTA(Call To Action) , 버튼 크기 (44~88px) 스티브 후버(2018): 한 손 49%, 한손+다른 손 탭 36%, 양손 사용 15% → 한 손으로 잘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 고려 힉의 법칙 의사결정에 걸리는 시간은 선택지의 개수와 복잡성과 비례해 늘어난다. → 단순 명확하게! 인지부하가 생기면 이탈 가능성 o 힉의 법칙을 따르는 것도 좋지만, 맹목적으로 콘..

UX: 경험하는 것에 포커싱 = 행동 고객 경험이 좋다고해서 무조건적으로 비즈니스적 이득X UI: 보여지는 것에 포커싱 = 표현 CLI(Command-line Interface), CUI(Character User Interface), 대부분 GUI(Graphic User Interface) GUI: 심미적인 것에 포커싱 UX를 어디까지 알아야 하는가? 디자인 패턴 이해: 가이드라인 숙지, 컨셉 이해 → GUI 피드백 UX 리서치 실행/관리: ’어떤 결과를 도출할 것인가’ 인지, 리서치 결과 → 인사이트 도출 아이디어 프로토타입 설계: Lo-Fi, Mid-Fi 정도는 설계. 반드시 시각적인 산출물? X, 유저 스토리, 스토리 보드 등을 작성해 제품 로드맵 공유 UX 설계 프로세스 요구사항 분석 —> PM..

선정 Product:카카오 웹툰 2021년 8월 1일. 국내 웹툰 시장의 양대산맥 중 하나였던 이 으로 리뉴얼 론칭했다. 나 또한 서비스를 잘 이용하던 사용자 중 한 명으로 '갑자기? 뜬금없이?'라는 생각이 들긴 했지만, 웹툰을 보려면 어쩔 수 없이 어플을 새로 설치해야 했다. 그래도 기존 앱이 아닌 신규 어플까지 나오니 뭔가 파격적인 변신이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어플 설치를 기다리며 "얼마나 좋게 바뀌길래 앱까지 새로 깔라는 걸까?"라는 생각이 들며 약간의 기대감도 있었다. 검은색 배경의 무언가가 트렌디한 느낌을 암시하는 듯하기도 했다. 하지만 앱을 설치하고 몇 분 이용하지도 않았는데 실망감이 만연했다. 한 마디로 요약하면 "불편하다"였다. 처음에는 새로운 방식에 익숙하지 않아서라고 생각했지만, 8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