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4)
Sutella의 자기 발전소:)

📢 고객 유입 분석 제품에 유입된 순간부터 고객의 모든 행동 추적/예측해 전환율을 상승시키기 위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 분석 기법 (유입을 위해X) 이벤트(고객의 행동)에 따라 얼마나 많은 고객이 유입되고 이탈하는지 분석 사용자 행동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 이탈하는 행동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빠른 대응책 설립 가능 실질적으로 서비스의 운영과 관계되는 핵심 지표만을 추적 → PM의 빠른 의사결정에 도움 📢 Funnel Process: 제품 노출 > 유저 유입 > 제품 내에서의 행동 > 최종 전환 위 과정에서 사용자들의 행동을 지표로 추적 Customer journey에서 핵심 단계 측정 및 그룹화 후 분석 지표 “전환율” 목표: 잠재고객을 입소문 효과를 내는 핵심고객으로 전환하는 것 → 전환율 측..

* 글이 다 날아가서 처음부터 다시 쓰는 기분을 아시나요... Why...🤦♀️ 과제 선정 product: 폴인(fol:in) 한창 인사이트에 흥미가 있어 여러 콘텐츠들을 탐색하던 시절, 스투시(@stussygo)라는 분의 인스타그램을 접하게 되었다. 그분의 인스타그램 소개글처럼, 일과 생활에 영감을 주는 것들을 수집하고 나누고 계셨다. 일상에서 발견하는 인사이트뿐만 아니라 정말 다양한 기업의, 그리고 세계 각지의 사례들을 통해 자신의 생각에 대한 게시물이 피드를 가득 채우고 있다. 다른 계정들도 팔로우하고 있지만, 내게는 이 분의 글이 정말 잘 맞다고 생각하고 매일매일 게시물을 기다리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스투시님이 '폴인(fol:in)'이라는 플랫폼의 제의를 받아, 장문의 글을 투고하셨다는 ..

선정 product: 아이디어스(idus) 이전에도 다룬 적 있는 프로덕트이지만, '그로스 해킹'을 봤을 때 가장 먼저 떠올랐던 서비스였다. 나 또한 그로스 해킹 전략의 사용자 1이 되었던 것 같기도 하고🤔 (그렇다고 거부감이 든 것도 아니다.) 커머스 중 하나지만 특화된 캐릭터성을 갖고 있는 서비스라 또 애정이 가기도 했다. 거창한 이유가 있는 건 아니지만! 그로스 해킹의 개념을 배워 본 김에-! 분석 시작-! 1. 연관 작품(상품) 추천 타 이커머스에서도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방금 사용자가 본 작품과 비슷한 작품을 추천해주는 것은 매우 큰 도움이 된다. 아이디어스는 '수제품'만을 다루는 플랫폼이며, 사용자들 역시 이를 충분히 인지하고, 이 매력에 홀려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수제품'..

내맘대로 기획하는 의 MVP_코드스테이츠 PMB 11기| W3 제품(기능 기획)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능 정의 어떤 문제에 집중할 것인가 내가 발견한 Pain point는 #과한 옵션 추가금 과 #필터링 노이즈, 2가지이다. 다만 두 가지 문제 모두를 동시에 해결 sutella-plant.tistory.com 북극성(멘토)님의 피드백에 대해 생각하기 기능이 가져야 할 속성 ‘동일한 정보가 무엇인지 판별’과 ‘정말 같은 상품인가'의 차이 멘토님의 피드백을 보고 정말 설명이 부족했다고 반성했다. 당시의 글을 다시 들고 오자면, 아래와 같다. 내가 다시 읽어도 '읭?'하는 부분이고, 나 또한 이 2개로 고민을 많이 했다. 처음에는 1, 4번을 보지 못하고 시각화 자료를 만들었다가, 완성 후에 4번의 내용을..

선정 product: 레슨북(Lesson Book) 요즘 운동삼아, 취미 삼아 골프를 배우고 있다. 내가 다니는 연습장에서는 시설 이용 및 레슨 예약을 위해 이라는 앱을 이용한다. 연습장에 등록할 때 그 자리에서 앱 설치, 회원가입, 로그인 절차를 진행한 후, 앱 이용 방법을 안내해 주었다. 이라는 앱은 골프, 필라테스, 헬스 같은 운동 시설뿐만 아니라 학습 과외, 음악 등 1:1 레슨을 위해 선생님과 학생이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앱이다. 오늘의 과제는 "Wireframe" 역기획? 다시 그리기이다. 이미 나와있는 서비스의 와이어프레임을 그려보고, 사용자가 특정한 과업을 완수하기 위한 스토리보드는 그려보는 것이다. 이때 이전에 분석한 서비스는 안된다는 조건이 붙어서...🤦♀️ 나의 없고 없는 앱 중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