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4)
Sutella의 자기 발전소:)

선정 product: 디즈니 플러스 (Disney+) 예전에는 의식주(衣食住)가 삶의 필수요소였다면, 현대인의 필수요소는 조금 다르게 정의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물론 여전히 의식주는 중요하지만, '삶 다운 삶'을 위해서 필요한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정석은 아니지만 나는 SNS(메신저)와 OTT는 포함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오늘은 그 중 OTT에 관련된 프로덕트를 선정했다. PMB 과정에 탑승하며😭 영화를 못 본지 어언 6주차에 접어들었다... 그 전까지는 정말 '못 잃어 OTT!!!'였는데, 과제에 대한 압박과 그를 해야한다는 생각에 OTT를 보지 못하고 있다. (물론! 유튜브는 틈틈히 본다!^^) 아쉬운 마음에... 이렇게나마 잠깐이라도 접해보고자..ㅎ 나는 현재 Disney+, Netflix,..

Program: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에게 주어지는 처리 방버봐 순서를 기술한 일련의 명령문 집합체 Service = UI + Front end/Back end (Client/Server) + DB 📢 DB (Data base) 컴퓨터 시스템에 전자 방식으로 저장된 구조화된 데이터의 체계적인 집합 DB = Data server + DBMS(관리 system) + SQL (언어) (EX=AWS+MySQL+SQL(언어)) 데이터 분석 process Concept: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수집해야 하는가? Collection: 수집 절차를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가? (방법, 절차 등) Processing: 입력된 데이터를 어떻게 변형할 것인가? (양 확인, 정보 요약, 기록) Distribution:..

과제 1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대부분의 산업들이 침체된 것과는 반대로 이커머스 시장은 그 어느 곳보다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여전히 코로나는 종식되지 않았고 수많은 경쟁사들이 이커머스 시장에서 힘겨루기를 벌이고 있다. 이러한 행태에 네이버 쇼핑은 최근 커머스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확장과 활성화에 힘을 쏟고 있는 실정이다. 네이버 쇼핑의 전략 📢 브랜드 스토어 브랜드 스토어는 제조업체, 명품 브랜드사 등 공식 브랜드가 네이버에 입점한 스토어 형태로 2020년 베타 서비스 시작하여, 2021년 6월 1일에 공식 오픈했다. 브랜드 스토어의 경우 해당 브랜드가 직접, 혹은 대행사가 위임 권한을 네이버에 인증받은 후 운영할 수 있다. 브랜드 스토어 중에서도 네이버 쇼핑의 '브랜드 패키지' 권한을 얻는다면 별도..

2주 차부터 데일리 과제와 위클리 과제를 병행하고 있다. 위클리 과제는 하나의 기업/product를 선정해 이에 관해서 장기적으로 분석하는 과제이다. 매주 과제 내용이 다르고, 일주일 동안 과제를 해서 제출하면, 담당 북극성(멘토)님이 자세하게 피드백을 해 주신다. 이 피드백에 관해서도 진짜 할 말이 많지만 이건 다음 기회로 PASS- 이번 글에서는 목요일(4월 14일)에 있었던 Meet-up 후기를 작성하려 한다. 세상 사람들이 다 알아줬으면 하는 갓벽한 북극성 JANE님ㅠㅜ!!! 지난 2번의 피드백을 받으며 정말 감동했는데.. 이번 Meet up을 통해 그 이상의 감동과ㅠ 많은 것을 배웠다. 북극성-작은곰 Meet up 행사 후기 (행사 시작 전) 어색함이 보장된 자리에.. 강제로 끌려가는... 사실..

5주 차 후기 나: 전 쓰레기에요ㅠ 동기님: 괜찮아요 저도 그래요.. ... 우리 모두 화이팅...ㅎ 5주 째 똑같은 말을 반복하고 있는 것 같지만, 여전히 내가 잘하고 있는 지 모르겠다. 계속 바보 같은 일을 반복하고 있고, 전진은커녕 퇴보하고 있는 것은 아닐지... 고민 too much.. 혼자서 끙끙 앓기도, 블로그에 쓰기도 하지만! 역시 동기님들이 최고이시다👍 사람이 참 간사하게도, 주변 사람들의 비슷하다는 얘기를 들으며 위안이 되는 듯 하다. 동기님들이 자기도 똑같다며, 뭘 하고 있는지 모르겠고, 앞으로도 어떻게 될 지 모르겠다고...(그렇다고 다같이 나락으로 가는 건 아님!) 간간히 얘기를 나눌 때마다 걱정과 고민을 털어놓는 것만으로도 멘탈 케어에 도움이 되고, 다들 과제 힘들다고 하기 싫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