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코드스테이츠| PMB 11/Daily 과제 (31)
Sutella의 자기 발전소:)

과제 1. 이 기업의 KPI는 무엇일까? 1. KPI를 설정하고 측정하는 데에는 다양한 지표가 활용됩니다. 어떠한 지표가 활용되는지 고민해보고 스스로 '지표 Dictionary'로 정리합니다. ex) LTV, CPC, CPA, CPI, nCPA, nCPI, CAC 등 지표 Dictionary에 대한 내용은 별도의 글에 정리하였다. 내가 만들어내고 생각한 지식이 아닌, 결국 다른 분들이 이미 정립하고 정의내려 놓은, 심지어 정리까지 해 놓으신 부분이기에... 많은 분들의 글을 참고해서 dictionary를 별도의 글로 정리했다:) ▼ 아래는 내가 re-organizing해서 발행한 글들(2) [정리] 성과 지표 이야기: KPI와 Metric (Vanity vs. Actionable) KPI (Key Per..

과제 1. 이 기업은 PMF를 찾았는가? 선정 Product: 카카오톡 선물하기 2010년 12월에 출시된 '카카오톡 선물하기'는 국내 인구의 90%가 이용하는 카카오톡에 내재된 서비스로, 21년 8월 기준 약 3,800만 명이 경험해 본 서비스이다. 60만 종의 상품이 등록되어 있으며, "기프티콘" 문화를 바꾸는데 크게 기여했다. 이전에는 모바일 상품권은 성의가 없거나 심지어 무례하다는 인식이 만연했다. (출처: 중앙일보) 그러나 카카오톡 선물하기가 등장한 이후 '선물하기' 문화가 생겼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작게는 300원짜리 츄파츕스부터, 몇 백만 원에 이르는 명품백까지 다뤄지고 있으며, 여러 브랜드/플랫폼들과 연계하며 새로운 유통 채널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나 역시 카카오톡을 이용하면서 '..

과제 1. 내가 좋아하는 서비스의 BM은 어떻게 생겼을까? 1. 최근 가장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 어떤 BM을 가졌을지 분석해봅니다. 서비스 선정: 카카오페이지(Kakao Page) 언제부터인지 모를 시절부터 내 하루의 마무리는 "웹툰"이었다. 네이버 웹툰을 시작으로 다음 웹툰(현 카카오 웹툰), 레진코믹스, 올레마켓 웹툰 등 여러 플랫폼들의 다양한 작품들을 보고 나면, 하루에 1~2시간은 후딱 지나갔다. 이는 고3 시절에도 예외는 아니었고,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이번 과제의 메인 토픽은 "비즈니스 모델". 과제 설명(?)에 '최근 가장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부분에서... 고민 없이 선택했다. 아래의 ↓스크린 타임↓ 사진을 보면(ㅋㅋㅋ) 지난 3주 동안 18시..

당근..이세요?! 이제는 너무나도 익숙한 당근마켓. 물론 이전에도 중고거래는 했지만, 매출만이 아닌 '문화'의 측면에서 당근마켓은 아주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전부터도 중고거래는 계속 되어져 왔지만, 당근마켓의 등장으로 거래+이웃 문화의 회복까지 이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당근마켓은 정말 놀라운 성과를 보이고 있다. 중고나라, 번개장터 등 기존의 시장에 강자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후발주자임에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용자들은 왜 당근마켓을 이용할까? 왜 'OO물건 거래 맞으세요?'가 아닌, "당근이세요?"로 다 통하는 시대가 온걸까? 나는 당근마켓이 "고객"에 집중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고객의 Needs와 문제를 살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탑재했기에 타 서비스들과는 다..